불혹(不惑)은 공자(孔子)의 <논어(論語)>“위정(爲政)”편에 나오는 글귀로 다음과 같다
' 子曰 吾十有五而志于學하고 三十而立하고 四十而不惑하고 五十而知天命하고 六十而耳順하고 七十而從心
所欲하야 不踰矩니라 '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나는 열다섯 살에 학문에 뜻을 두었고, 서른 살에 섰으며, 마흔 살에 미혹하지 않
않았고(불혹, 不惑), 쉰 살에 천명을 알았으며, 예순 살에 들은 것을 순리로 받아들였고, 일흔 살에 내가
하고 싶은 대로 하여도 법도에서 벗어나지 않았다.” 라고 하셨다.
공자의 이 말로부터, 15세를 지학(志學 - 학문에 뜻을 둔다.), 30세를 이립(而立 - 인생을 세운다.), 40세를 불혹(不惑 - 미혹되지 않는다.), 50세를 지천명(知天命 - 하늘의 뜻을 안다.), 60세를 이순(耳順 - 귀가 순리대로 들린다.), 70세를 종심(從心 - 법도를 어기지 않는다.)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미혹,迷惑>이란 단어를 사전에서 찾아보면 1. 무엇에 홀려 정신을 차리지 못함. 2. 정신이 헷갈리어 갈팡질팡 헤맴이란 뜻이 있다. 그래서 왜 공자는 40대를 불혹이라고 했는지 생각해 봤다. 과연 공자는 40대가 되면 미혹하지 않게 된다고 불혹(不惑)이란 말을 했을까?
공자는 예수보다 500년 정도 일찍 생을 살다 간 사람으로 지금으로부터 2500년 전의 사람이며 당시의 평균 수명에 비하면 2배 정도의 수를 한 사람으로 73세까지 살았다.
현대의 기준에서 남자가 40대가 되면 사회적으로는 한참 중추적인 역활을 한다. 어떤 조직에 속해 있어면서 결정을 해야하고 자신의 판단에 의해 조직의 길과 방향이 승패로 가는 중요한 위치에 있다는 말이다.
또한 자녀들은 학생으로 열심히 공부할 나이고 부모님들은 대부분 연로하신 나이며 그리고 신체적으로는 체력이 급격히 저하되면서 정신적으로는 급속히 성장하는 나이다
이 시기에는 곁으로는 모든 사람들에게 강인하게 보이지만 스스로 혼자 있을때는 외로움과 두려움을 많이 느낀다. 외로움과 두려움은 때때로 사람의 정신과 판단력을 흐리게 한다
그래서 아마 공자가 40대를 불혹(미혹되지 않음)하라고 주의를 준 것이라고 생각이 된다
신독(愼獨)은 중용 1장에 나오는 글귀로 홀로 있을때도 삼가하고 조심한다 뜻으로 故君子愼其獨也과 관계있다
天命之謂性 率性之謂道 修道之謂敎
道也者 不可須臾離也 可離 非道也
是故 君子 戒愼乎其所不睹 恐懼乎其所不聞
莫見乎隱 莫顯乎微 故君子愼其獨也
하늘이 명한 것을 성(性)이라 말하고, 성(性)에 따른 것을 도(道)라 말하고, 도(道)를 닦는 것을 교(敎)라 말한다.
도라는 것은 잠시라도 떠날 수가 없는 것이니, 떠날 수 있다면 도가 아니다.
이러한 까닭으로 군자는 그 보이지 않는 바에 경계하고 삼가며, 그 들리지 않는 바에 두려워하는 것이다.
숨겨진 것보다 더 잘 드러나는 것은 없으며, 작은 것 보다 더 잘 나타나는 것은 없으니, 그러므로 군자는 그 홀로 있을 때 삼가는 것이다.
이렇듯 40대가 되고 보니 불혹(不惑)과 신독(愼獨)에 대해 다시금 생각해 본다
'일상 이야기 > 살아가는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창원에도 드디어 첫눈이 왔습니다 (0) | 2012.12.11 |
---|---|
알면 보이고 보이면 사랑하게 되나니 (0) | 2012.12.05 |
장자 - 혼돈(응제왕편) (0) | 2012.03.26 |
보왕삼매론(寶王三昧論) (0) | 2012.02.03 |
왜냐고 물으시면 (0) | 2006.09.13 |